나도 모르게 ‘탈탈’ 털리고 있는 개인 정보!
방심하면 털리는 내 개인정보! 클립보드, 사진 위치 정보, 광고ID 삭제 등 스마트폰 보안 설정으로 사전에 막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클릭 몇 번으로 지키는 방법 3
![]() 방심한 사이, 지금도 내 소중한 개인정보가 밖으로 유출되고 있을지 모른다. / 셔터스톡 |
스마트폰의 편리함 뒤엔 항상 ‘개인 정보 유출’이라는 위험이 숨어있다.
스마트 뱅킹을 이용하다가 무심코 저장한 계좌번호나 비밀번호, 촬영한 사진의 위치 정보, 친구와 나눈 이야기까지도 나도 모르는 사이 유출되고 있을 수 있다.
유튜브 채널 ‘시니어 탐정’에 소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하게 개인 정보를 지킬 수 있는 3가지 방법을 살펴보자.
◇ ‘클립보드’ 내에 저장된 정보 유출 막기
가끔 지인과 메시지를 주고받다 보면, 계좌번호나 전화번호, 주소 등을 [복사]-[붙여넣기] 해야 할 때가 있다.
이때 복사한 내용은 어떻게 될까? 이 내용들은 사라지지 않고 스마트폰 내 ‘클립보드’에 저장된다.
문제는 악성앱이 클립보드에 접근해 카드번호나 비밀번호 등을 몰래 빼낼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보안 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클립보드에 저장된 정보,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까?
첫째, 클립보드 안에 있는 정보를 깨끗하게 지워준다.
(※ 삼성 갤럭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
![]() 직접 클립보드에 들어가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 유튜브 ‘시니어 정보탐정’ 캡처 |
1. 자주 사용하는 메시지 어플을 열어준다.
2. 메시지 창을 누르고, 도구 모음에서 [클립보드]아이콘을 눌러준다.
3. 삭제할 내용을 2~3초 누른 후, [휴지통]아이콘을 눌러 삭제해 준다.
둘째, 수상한 앱이 클립보드에 접근하면 알림이 오는 보안 기능을 설정한다.
(※ 삼성 갤럭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
![]() |
![]() 간단한 설정으로 클립보드에 저장된 정보를 보호 할 수 있다. / 유튜브 ‘시니어 정보탐정’ 캡처 |
1. [설정]에 들어가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항목을 찾는다.
2. [제어 및 알림] 또는 [추가 개인정보 제어]를 눌러준다.
3. [클립보드에 접근 시 알림]기능을 켜짐(파란색) 상태로 켜준다.
◇ 사진 속 위치 정보 해제하기
요즘에는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으면, 자동으로 촬영 날짜와 장소, 휴대폰 기종 등이 사진과 함께 저장된다.
즉, 내가 보낸 사진을 받은 누구나 내가 언제, 어디서, 어떤 기종의 휴대폰을 가지고 사진을 촬영했는지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집 위치가 다른 사람에게 노출되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사진에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다음 방법을 따라해보자.
(※ 삼성 갤럭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
![]() 촬영한 사진을 ‘아래에서 위로’ 스크롤 하면, 촬영 날짜와 시간은 물론이고, 위치 정보 까지 저장된 것을 볼 수 있다. / 유튜브 ‘시니어 정보탐정’ 캡처 |
![]() |
![]() 카메라 설정을 통해, 위치 태그 기능을 해제할 수 있다. / 유튜브 ‘시니어 정보탐정’ 캡처 |
1. [카메라] 어플을 실행한다.
2. 왼쪽 위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한다.
(혹시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쪽 동그라미 안에 [점 네 개] 버튼을 눌러, [톱니바퀴] 아이콘을 찾을 수 있다.)
3. [톱니바퀴(설정)]에서 [위치 태그]항목을 꺼준다.
4. 설정 후, 새롭게 촬영하는 사진부터는 위치가 저장되지 않는다.
◇ 맞춤형 광고 삭제하기
지인과의 통화나 대화 중 무심코 나눈 이야기가 스마트폰 사용 중에 광고로 떴던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혹시 스마트폰이 내 이야기를 엿들은 것은 아닐까?
이 기능은 바로 스마트폰 내에 부여된 ‘광고ID’로, 개개인마다 ‘맞춤 광고’를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진 가상의 이름표라고 볼 수 있다.
‘광고ID’는 나의 검색 기록, 사용 패턴, 관심사 등을 분석해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데, 우리가 평소 나누는 이야기, 통화 내용, 웹서핑 기록 등도 정보 수집 대상이 될 수 있다.
만약 정보 수집을 원치 않는다면, 설정을 통해 ‘광고ID’를 삭제할 수 있다. 다음을 함께 따라해보자.
(※ 삼성 갤럭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
![]() |
![]() |
![]() |
![]() ‘광고ID 삭제’로 개인 정보 수집을 막을 수 있다. / 유튜브 ‘시니어 정보탐정’ 캡처 |
1. [설정]에 들어가 [돋보기]아이콘을 클릭한다.
2. ‘광고’를 검색한다.
3.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또는 ‘개인정보 설정’ 메뉴에 있는 [광고]를 클릭한다.
4. 화면 맨 아래쪽 [광고]를 눌러준다.
5. [광고ID 삭제]를 클릭한다.
(‘광고ID 삭제’가 없을 경우 ‘광고ID 재설정’이나, ‘맞춤 광고 제한’ 항목을 선택하면 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이 있듯, 피해를 겪고 난 뒤의 후회는 소용없다. 클릭 몇 번으로 개인정보 유출을 사전에 대비해봐도 좋겠다.
오주혜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