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생선을 냉동칸에 넣어둬?"
[생활 소확행] 장마철 식품 보관법 아시나요?
식품 보관에 특히 주의해야 할 계절이 다가왔다. 식중독 바이러스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증식하기 쉬우므로 여름철만 되면 식중독 환자는 많이 증가한다. 식품마다 올바른 보관법이 있다고 하니, 참고하도록 하자.
◇ 식품별 보관 방법
1. 채소
![]() |
채소는 구매 후 바로 먹는 게 이상적이지만, 그렇지 않을 때에는 씻지 않고 비닐 팩에 담거나 신문지로 싼 후 냉장 보관해야 한다. 씻어서 보관할 경우에는 물기를 최대한 제거하고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한다. 채소를 오랜 시간 보관하면 수분이 날아가고 조직도 연해지므로 보관 후 2~3일 내로 먹는 것이 좋다.
2. 양념
고춧가루나 깨소금은 사용할 양만 소분해 냉장실에 보관하고, 나머지는 냉동실에 보관한다.
또한 참기름이나 식용유와 같은 유지류는 온도가 높은 곳에 보관하면 악취가 발생할 위험이 크기 때문에 냉장 보관하도록 해야 한다.
3. 곡류
![]() |
쌀과 같은 곡류는 습도 60% 이하, 온도는 10~15℃ 이하의 서늘한 곳에서 보관해야 한다. 실온에 둘 경우 벌레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 특히 보리와 쌀, 옥수수 등에는 간암을 유발할 수 있는 ‘아플라톡신’이라는 식중독 곰팡이가 생기기 쉽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밀폐된 용기에 넣어 보관하도록 해야 한다.
4. 육류
육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해 5℃ 이하 냉장 보관, -18℃ 이하 냉동 보관하는 게 좋다. 또한 고기에 핏물이나 수분이 남은 상태로 보관하게 되면 맛과 질이 저하되므로, 최대한 제거한 후 보관해야 한다.
고기에 양념을 한 후 냉동 보관하는 것도 좋다. 양념 속의 소금, 식초 등의 성분이 미생물이 자라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또한 냉동 과정에서 양념이 더욱더 잘 베어 맛 좋은 고기를 즐길 수 있다.
5. 어패류
![]() |
어패류에는 노로바이러스, 장염 비브리오 등 식중독을 발생시키는 미생물이 있을 수 있어 보관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어패류는 내장부터 상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머리, 아가미, 내장, 연골 부분 등을 잘 손질해 제거한 다음 물기를 닦아 랩으로 감싼 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한다.
흰 살 생선은 냉동환경이 강하지 못해 냉장실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불가피하게 냉동보관을 해야 할 경우, 밑간하거나 얼음물에 넣었다가 급속냉동을 시켜야 한다.
반면 붉은 살 생선이나 참치, 꽁치, 오징어, 낙지 등의 어패류는 손질 후 냉동실에 보관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