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팅 마모된 프라이팬, 금속성분 용출량 증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프라이팬 바닥 코팅이 벗겨지면 내부 금속재질로부터 알루미늄 등 금속성분이 미량 용출될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19일 밝혔다.


프라이팬 코팅제는 금속재질인 본체의 부식을 방지하고 음식물이 팬에 눌어붙지 않도록 사용하며, 불소수지가 대표적이다.

코팅 마모된 프라이팬, 금속성분 용출량 증가

식약처는 프라이팬 표면을 철수세미로 반복적으로 마찰시켜, 코팅 프라이팬의 코팅 손상정도에 따른 중금속 등 유해물질 용출량을 조사했다.


그 결과 코팅 마모가 진행되더라도 코팅 손상정도와 상관없이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식약처에 따르면 중금속은 최초 용출 시에만 미량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에 프라이팬 구입 후 깨끗이 세척해 사용하면 중금속 우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과도한 코팅 손상으로 프라이팬 바닥의 본체가 드러날 경우 알루미늄 용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새 제품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스테인리스 뒤집개 등 조리 기구로 1년간 프라이팬을 사용한다는 조건에서 코팅 손상정도를 실험한 결과, 코팅 손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코팅 마모된 프라이팬, 금속성분 용출량 증가

프라이팬 새 제품을 처음으로 사용할 때에는 물과 식초를 1대1로 섞은 식초물을 넣어 10분 정도 끓인 후 깨끗이 세척해야 한다.


세척한 프라이팬은 ‘기름 코팅’으로 길들여주면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조리과정 중 금속성분의 용출도 줄일 수 있다.


기름 코팅은 세척한 팬을 달궈준 후 식용유를 이용해 엷게 바르면서 가열하는 과정을 3~4회 반복하면 된다.


조리 시에는 목재나 합성수지제 등 부드러운 재질의 뒤집개를 사용해 코팅 손상을 최소화해야 한다.


또 빈 프라이팬을 오랜 시간 가열하거나 염분이 많은 음식을 조리하고 프라이팬에 장시간 방치하는 것은 코팅을 약화시킬 수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조리 후에는 철수세미 대신 부드러운 수세미와 주방세제 등을 이용해 세척하고, 음식물이 눌어붙어 세척이 어려울 경우에는 프라이팬에 굵은 소금을 골고루 뿌리고 2~3분 가열한 뒤 키친타월로 닦아내면 된다”고 말했다.


[리얼푸드=민상식 기자]​ mss@heraldcorp.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