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 경지 오른 면·국물 조화… 평경장도 와서 먹어봐라 [웃기는 짬뽕]

이 집 짬뽕은 면발과 국물의 조화가 굉장히 좋다. 면발이 제법 두툼함에도 그 안에 고춧가루가 그득한 국물 맛이 고스란히 스며들었다.

화성 혼이담긴짬뽕


면이냐 밥이냐 선택, 맵기 조절 가능

핵맛 있다고? 원자폭탄도 종종 쓰이지

해물 3종에 후추·깨 얹어 기본기 충실

국물맛 잘 밴 면발은 완뽕 부르는 법

딱 필요한 재료만 심플하게 들어간 짬뽕. 핵심은 면발과 국물.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딱 필요한 재료만 심플하게 들어간 짬뽕. 핵심은 면발과 국물.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1980년대 말 수도권에 ‘1기 신도시’가 들어섰다. 주택 공급을 늘려 주택시장을 안정시킬 목적으로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등 5곳에 일종의 계획도시가 만들어졌다. 1기 신도시의 파급력은 꽤 컸다. 군포는 몰라도 산본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고, 거주민들조차 성남이나 고양에 산다는 말보다는 ‘분당 살아요’, ‘일산 살아요’라고 말하는 게 일상이 됐다. 이후로도 판교·수지·동탄·광교 등 수많은 신도시가 경기도에 잇따라 생겨났다.


도시가 개발되는 건 자연스러운 시대적 흐름이다. 아파트와 상가가 들어서고 길이 뚫리고 대중교통이 지나가면 그만큼 사람이 살기 좋은 환경이 갖춰진다. 그러나 어느새부턴가 집값이 모든 가치 판단의 기준점이 돼버렸다. 내가 사는 고장에 대한 뿌리나 역사, 정체성따윈 중요치 않다. 그저 우리 동네에 전철역이 언제 들어서는지에 관심이 갈 뿐이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상당수 음식점들도 프랜차이즈 형태로 바뀌고 있다. 맛이 검증된 식당이 곳곳에 보급되는 현상을 부정하고 싶진 않지만, 음식으로 대변되는 지역 고유의 특성이 사라져 가는 부분은 못내 아쉽다. 평택이나 의정부나 똑같은 음식점들만 즐비할 뿐 별반 차이가 없다면? 웃기는 짬뽕이다.

혼이 담긴 짬뽕.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혼이 담긴 짬뽕.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 짬뽕에 영혼을 담다

화성시 능동 ‘혼이 담긴 짬뽕’. 화성에 있지만 화성 맛집보다는 동탄 맛집으로 알려진 곳이다. 화성시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서며 특례시로 도약했으나 아직도 동탄의 기세를 넘진 못하고 있는 듯하다. 용인시 수지구 주민들도 아직 용인보다는 수지라는 이름을 더 선호한다. 경기도의 수부도시라고 하는 수원시도 광교라는 브랜드 앞에선 뒷전으로 밀리는 신세인 걸 보면 신도시의 힘은 참 대단하다.


이 집은 식당 이름부터 임팩트가 강하다. 혼이 담긴 것도 모자라 간판에는 ‘짬뽕에 영혼을 팔았다’는 문구까지 걸려 있다. 영화 ‘타짜’에서 평경장 역의 백윤식이 자신을 일컬어 화투를 아트의 경지로 끌어올린 인물이라며 ‘혼이 담긴 구라’라는 표현을 썼다. 과연 아트의 경지에 이른 짬뽕을 맛볼 수 있을지 기대감이 솟는다.

요즘 어딜 가나 짬뽕의 종류가 너무 많다. 하지만 이 집은 짬뽕의 경우 짬뽕과 짬뽕밥, 짬뽕순두부가 전부다. 고기와 해물 베이스의 갈림길에서, 또 해물류 중에서도 어떤 옵션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할 필요가 없다. 매번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겐 차라리 이런 단순 구성이 더 수월하다. 면이냐 밥이냐만 결정하면 된다.


맵기는 조절이 가능하다. 기본맛과 매운맛이 있고 그 위로 핵맛도 두 단계나 있다. 전 세계 어느 나라에서 맛에 ‘핵’이라는 단어를 쓸까. 매운맛을 표현할 땐 핵뿐 아니라 원자폭탄도 종종 사용된다. 엽기, 뼈다귀, 내장도 모자라 이제는 마약이라는 단어까지 음식에 스스럼없이 사용하는 대한민국, 참 재밌는 나라다.


몇 년 전만 해도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핵맛을 주문했겠지만, 이제는 굳이 그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객기는 참사를 부른다. 나이가 들수록 사람은 보수적으로 변한다더니, 음식을 고를 때도 마찬가지다. 내 소중한 위와 간을 지키는 게 우선이다. 맵부심 따윈 바람과 함께 사라진지 오래다. 기본맛으로 주문. 순두부에 의존하지 않았다는 걸로 위안을 삼는다.

이 집 짬뽕은 국물이 깊게 스며든 찰진 면발이 포인트.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이 집 짬뽕은 국물이 깊게 스며든 찰진 면발이 포인트.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면발과 국물의 환상적 조화

걸쭉해 보이는 국물에 홍합과 오징어, 가리비 등 해물 3종 세트가 포진해 있고 그 위로 후춧가루와 깨가 올라가 있다. 배추와 양파 외에 별다른 채소는 보이지 않는다. 심플하지만 딱 필요한 요소만 갖춰져 있다.


국물 한입에 전해지는 고춧가루의 밀도가 굉장히 높다. 이 집은 경북 영양군에서 공수해 온 태양초 고춧가루를 쓴다고 하는데, 국물에 스며든 고춧가루의 진득함이 입안을 가득 메운다. 매콤함보다는 묵직함이 더 강하다.


필자가 짬뽕 맛의 척도로 삼는 가장 첫 번째 기준은 면발과 국물의 조화다. 국물이 배어있지 않아 겉도는 면발은 딱 질색이다. 혹자는 슴슴한 맛이라고도 하지만, 밍밍한 맛은 짬뽕의 결에 맞지 않다. 어머니께선 이런 상황을 두고 ‘니 맛도 내 맛도 아니다’라는 표현을 자주 쓰셨다.

오징어와 홍합과 가리비. 이 밖에 더 이상 뭐가 필요하겠는가.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오징어와 홍합과 가리비. 이 밖에 더 이상 뭐가 필요하겠는가.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하지만 이 집 짬뽕은 면발과 국물의 조화가 굉장히 좋다. 면발이 제법 두툼함에도 그 안에 고춧가루가 그득한 국물 맛이 고스란히 스며들었다. 묵직한 국물과 탱탱하고 쫀득한 면발이 각자의 매력을 뽐내면서 동시에 강한 시너지를 낸다. 굳이 다른 부재료가 더 필요 없을 정도로 면발과 국물만으로 충분하다. 단무지를 좋아하는데 거의 먹지 않았다. 단무지 생각이 나지 않았다.


야구에서 어려운 공은 잘 처리하는 반면 기본적인 쉬운 플레이를 실수하는 수비수들이 있다. 겉으로 보이는 화려함에 치중한 나머지, 기본을 놓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짬뽕도 마찬가지다. 온갖 화려한 짬뽕이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정작 알맹이는 빠진 듯한, 그래서 두 번은 찾지 않게 되는 그런 곳들이 더러 있다. 이런 가운데 기본에 충실한 짬뽕을 만난 것 같아 흡족하다.

오늘도 완뽕이다. 마지막 남은 국물 한 모금이 ‘메롱’을 시전하고 있다.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오늘도 완뽕이다. 마지막 남은 국물 한 모금이 ‘메롱’을 시전하고 있다. /황성규기자 homerun@kyeongin.com

황성규 기자 homerun@kyeongin.com

2025.09.18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지역을 말하는 디지털뉴스
채널명
경인일보
소개글
지역을 말하는 디지털뉴스
    이런 분야는 어때요?
    오늘의 인기
    TOP10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