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농업유산’…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된 우리 농업방식

[푸드]by 리얼푸드

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 우리나라 농업시스템 5개 등재

생물다양성 보존, 친환경 조성, 농업의 지속성, 전통 농업 문화 등의 가치 인정받아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에는 현대 농업 시스템의 전환 필요”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는 노력에서 농업도 예외가 될 수 없다. 특히 늘어나는 인구로 인한 식량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농업 방식을 위해서는 현재의 농업방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담양 대나무밭, 제주 밭담 등 우리나라가 보유한 세계중요농업유산 5개소가 주목을 끌고 있다. 지난 2014년 완도 청산도 구들장 논 농업 시스템을 시작으로 2020년 담양 대나무밭 농업 시스템까지 총 5개소가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에 등재돼 있다. 세계중요농업유산은 국제연합(UN)의 산하기관인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전 세계의 전통적 농업 시스템과 경관, 생물다양성, 토지 이용체계를 보전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이다. 생물다양성, 농업 경관 등을 보전해 지속가능한 농업을 성취하고 식량안보와 빈곤 완화에 공헌하는 농촌 개발이 목표이다.


정명철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박사는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의 기준에는 주변 생태계를 해치지 않는 환경 조성이나 농업 생물의 다양성 보전 등 지속가능한 조건들이 포함돼 있다”며 “우리나라 제주 밭담의 경우, 밭담을 좋아하는 농업 생물들이 주변에 살 수 있어 생물 다양성 보전에 큰 역할을 하며 제주 전역에 쌓인 밭담 길이(약 2만 2000㎞)는 중국 만리장성보다도 길다”고 말했다. 이어 “인류가 추구해야 할 지속가능성의 목표 도달에는 화학비료와 농약을 많이 사용하는 현대 농업이 아닌, 이러한 전통적인 친환경 농업유산이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제주 밭담 농업 시스템

[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 제공]

화산섬인 제주도는 농업환경이 매우 척박다. 애써 땅을 일궈 농사를 지으려 해도 바람이 세어 흙이 날아가고 수분이 빨리 증발하기 때문이다. 세계중요농업유산 모니터링과 평가 안내서에 따르면 제주 도민들은 열악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땅에서 골라낸 돌로 밭담을 쌓았다. 이렇게 조성된 밭담은 바람을 갈무리하여 흙과 씨앗의 유실을 방지하고,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막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해냈다. 탁월한 농업경관과 전통지식, 생물다양성 등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4년에는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됐다.

▶완도 청산도 구들장 논 농업 시스템

[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 제공]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도는 경사지가 많고 돌이 많으며 물이 쉽게 빠지는 땅이기 때문에 농사를 짓기 어렵다. 이에 농업인들은 독특한 논 개간 기술과 지하 통수로를 이용한 수리관개 기술을 개발, 섬 곳곳에 구들장 논을 만들어 벼농사를 지었다. 17세기에 시작되어 20세기까지 지속적으로 개간된 구들장 논은 토지와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전통 농업기술의 산물이다. 2014년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됐다.

▶하동 전통차 농업 시스템

[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 제공]

경상남도 하동의 차 농업은 신라시대 당나라에서 들여온 차 씨를 지리산에 심으면서 시작됐다. 1200여 년 동안 차 농업을 유지해온 하동은 우리나라 차 문화의 종가(宗家)이다. 주민들은 자연과 공생하는 전통 농법을 이행하고 있으며, 산비탈에 형성된 야생에 가까운 차밭은 주변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룬다. 2017년에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됐다.

▶금산 전통 인삼농업 시스템

[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 제공]

충청남도 금산 인삼은 고려 때부터 세계에 널리 알려져, 한국 인삼의 대명사로 불린다. 지금도 수삼을 비롯해 인삼 관련 상품의 80% 가량이 금산에서 거래되거나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다. 농업인들은 전 과정에서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전통적인 농법을 지켜오고 있다. 금산 인삼농업은 1500년의 역사와 과학적 재배 기술, 농업문화 등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됐다.

▶담양 대나무밭 농업 시스템

[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 제공]

전라남도 담양은 대나무 주산지이자 죽세공예의 본고장이다. 400년 전부터 전라도 일원의 장인들이 부채 등을 생산했다. 담양 사람들은 대나무를 논이나 밭에 심는 작물처럼 여긴다. 대나무밭을 새로 조성할 때, 밭두렁부터 고랑을 판 후 인분을 고랑에 붓고 왕겨를 덮는 전통 방식의 재배 기술을 전승해오고 있다. 오랜 역사성, 생물다양성 등의 가치를 인정받아 2020년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됐다.


[리얼푸드=육성연 기자]​ gorgeous@heraldcorp.com

2022.05.20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Eat, Play, Cook의 즐거움이 있는 자연식·친환경·건강식 푸드 매거진
채널명
리얼푸드
소개글
Eat, Play, Cook의 즐거움이 있는 자연식·친환경·건강식 푸드 매거진

    Copyright © ZUM internet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