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기로 말린 굴비는 옛말, 이젠 중국산 부세가 대세

영광굴비의 주인공이 바뀌고 있다. 참조기 대신 중국산 부세가 대세로 떠오르며, 가격은 5배 저렴하지만 맛과 살집은 더 풍부해졌다. 굴비의 세대교체가 시작됐다.

황금빛 부세 / 연합 

황금빛 부세 / 연합 

명절 선물로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영광굴비 세트.  굴비는 전남 영광 법성포 앞바다에서 잡히는 참조기로 주로 만들어왔는데, 최근 조기의 사촌 격인 중국산 부세가 인기를 끌면서 '부세 굴비'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굴비의 본고장인 법성포에서도 이제는 조기 대신 부세 굴비 선물 세트를 선보이는 곳이 적지 않다.


우리가 즐겨 먹는 부세는 대부분 중국산이다. 조기와 같은 민어과로 주둥이 끝이 약간 둥글고 몸이 통통할 뿐 조기와 매우 비슷하다.


선어(鮮魚) 상태일 때나 조금 말렸을 때는 맛이 조기보다 떨어진다. 하지만 2∼3개월 바람에 말리면 감칠맛을 내는 이노신산이 늘어나고 응축해 조기보다 더 맛있다. 살집도 좋아 먹을 것도 많다.


특히 조기에 비해 가격이 최대 5배가량 싸다는 장점이 있다. 국내산 조기는 온난화로 인한 수온 변화, 무차별적인 남획으로 인해 어획량이 크게 줄었다.


조기를 소금에 절여 말린 게 굴비인데, 조기만으론 굴비 수요를 충당할 수 없다. 그 빈자리를 가격에 비해 만족도가 높은 부세 굴비가 채워 가고 있다.


전국 참조기 생산량은 2020년 4만1천39t에서 지난해 1만7천805t으로 급락했다. 영광수협 참조기 위판량도 2020년 1만602t에서 지난해 5천126t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1㎏당 원물가는 최저 6천570원에서 1만원대까지 올랐다. 


5년 전 영광굴비 판매량의 47.8%를 차지했던 부세 점유율은 지난해 88.6%까지 급증했다. 머지않아 영광굴비를 조기 대신 부세로 만들게 되는 것이다.


법성포에서 굴비를 판매하는 장모씨는 6일 "국내산 참조기로 만든 보리굴비는 3배가량 더 비싸다. 부세만 한 참조기로 만든 건 5배 가까이한다"며 "이제는 훨씬 싸고 살집도 풍부한 부세 굴비가 일반적이다"고 설명했다.


영광군은 조기 양식화로 상품성을 높여 조기 굴비의 명성을 되찾겠다는 계획이다.


영광군 관계자는 "참조기 산업화센터를 조성해 양식 조기 원가를 낮춰 조기 굴비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아직은 조기 양식에 부정적인데, 이제는 어민, 굴비 업체들도 함께 조기 양식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영광=연합뉴스)


마음건강 길 편집팀

2025.10.18원문링크 바로가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건강한 마음, 행복한 인생, 성숙한 삶의 길로 안내합니다.
채널명
마음건강 길
소개글
건강한 마음, 행복한 인생, 성숙한 삶의 길로 안내합니다.
    이런 분야는 어때요?
    오늘의 인기
    TOP10
    ESTaid footer image

    © ESTaid Corp. All Rights Reserved.